본문 바로가기

기록/경험일지21

상속정리중 해왔던거 메모 #10 - 경매 배당금 수령, 한정승인 금액 사용 경매 배당금 수령입찰자 경매 대금 입금 후, 이의가 있을시 기일에 가서 이의하고 아니면 그 이후 날짜 관계없이 경매계로 가서 배당금 수령 신청을 하면 된다. 1. 법원 방문 2. 민원처리과? 가서 해당 경매배당금 수령 서류 작성, 인감증명서, 신분증 등 서류 제출하고 뭘 도장을 찍으면 또 다른 부스 어디가서 보여주면 전산에 입력한다. (인감증명서, 도장, 신분증)- 이때 주소 변경내역이 있으면 초본을 떼와야한다(주소변경 이력을 포함) 법원에는 무인발급기만 존재. 나는 사전에 주소변경신청을 했기때문에 필요가 없었다.  3. 경매계 가가지고 해당 숫자 계 담당자(법원주사보)한테 가서 보여주면 법원보관금 출급(환급)명령서를 준다. 금액이랑 정보 찍혀있음 4. 그걸 어디또 가면 (이름을 까먹음) 환급해주는데 보.. 2024. 8. 28.
상속정리중 해왔던거 메모 #9 1. 사건 기록 열람 복사 신청소송이나 경매, 사건 등의 기록을 열람하고 싶다면!? 해당 법원으로 방문해서 열람복사 신청 할수 있다. (당사자의 경우!)관할 법원 방문 후, 신분증을 가지고 가서 해당 처리과로 가서 신청서를 작성한다. 신청서에 각 정보를 써야하니깐 해당 관련 서류를 들고가면 더 좋겠죠? 그렇게 하고 열람 복사 신청을 하면 됨.암튼 그렇게 하고 다시 신청한 곳 가면 무슨 종이를 주는데 그 뒤쪽에 컴퓨터가 있어서 거기서 안내에 따라서 해당 화면 보면서 조작하면 된다. 보고자 하는 기록을 체크 해서 본 다음 신청하면 된다.열람만 할지 (인쇄 안하고) 복사(인쇄)할지 등 선택함. 선택에 따라 내야하는 돈이 달랐던 기억이난다. 현금을 챙겨가자수수료 같은 경우 내는곳이 따로 있는데, 무조건 현금!(.. 2024. 6. 27.
상속정리중 해왔던거 메모 #8 세금 부과 이게 뭐냐면 몰랐던 미납세금이 2년 뒤 국세청에서 전산으로 조회가 뜨기 때문에 고지서가 날라온다.고 한다. 생전 고인의 미납된 세금(일부납부만 한 상태)을 모르고 있다가 이번에 가산세까지 붙어서 고지되어 기록. 전화해서 물어보니 자기네들도 모른다. 2년 뒤에나 알수 있다고......................(진짜?) 다른것도 있을수 있어 미리 알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물어보니 없다고한다. 건강보험 해촉증명서 2023년 말에 소득에 따른 보험료 부과 갱신되면서 예상치못하게 엄청 많은 금액이 되었는데, 알고보니 생전에 명의를 가족으로 해놓은 채로 소득이 잡혀서 종소세가 나왔는데 그런 상태에서 그게 소득으로 잡혀서 보험료가 많이 올랐다. 소득이 발생한 곳에 전화해서 물어봐도 그들은 그 기록을 일.. 2024. 1. 5.
상속정리중 해왔던거 메모 #7 세법상담방법 / 팩스 전송 tip / 문서 스캔 tip / 공시지가 계산 세법상담방법 1. 지식인에 물어보기 네이버 지식인에 접속해서 카테고리를 세무 쪽으로 지정/ 관련 전문가 혹은 일반인이 답변해 준다. 답변의 퀄리티는 알아서 판단할 것. 2. 세무전문가에게 상담 세무사무실에 연락해서 소정의 상담비를 지불하고 직접 내방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다. 3. 국세청 홈택스를 통한 상담 - 유선상담 : 126으로 전화해서 세무상담을 받을 수 있다. 단, 이용자가 많으므로 대기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 나는 10분 넘어서 계속 대기하다 전화연결이 되었다. - 온라인상담 : 홈택스 로그인 한 다음 퀵메뉴에서 [인터넷상담하기] 눌러서 직접 온라인에 작성해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지방세는 위택스) 질문에 따라서 선택.. 2023. 10. 17.
상속정리중 해왔던거 메모 #6 양도소득세 신고 / 예방접종증명서 신청 / 병원 진료기록 발급 / lh 전세 임대인 변경 양도소득세 신고 * 아주 중요한 세금... 잘못하면 폭탄을 ~ 맞~는다 ♩♪ 양도소득세 :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의 차액을 정해진 비율로 곱해서 세율적용된 걸 납부하면 된다. 상속일 (사망일) 기준으로 6개월 이내에 해당 재산을 매매하면 취득가액을 양도가액으로 인정받아 양도소득세가 0원 부과된다. 모바일 알림으로 양도소득세 이번달 안에 내라고 문서가 옴. 양도일이 8월이었는데 10월 말까지 내라고 했다. 양도일과 양도가액은 신고된 금액이므로 홈택스로 신고할 때 조회되어 나온다. 처음에 양도일로 해서 6개월 기준인가 했으나, 126으로 상담받아보니 매매계약일 기준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매매계약일이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 .. 2023. 10. 13.
상속정리중 해왔던거 메모 #5 재산세 / 재산세 부과 시기 기준 / 상속자 명의 변경 재산세 부과 토지와 건물 재산이 있으므로 세금을 내야 한다. 1년에 한 번 부과되는데 6월 1일 기준이다. 7월과 9월에 반반씩 낸다. 아파트 매매를 8월에 했으므로 6월 기준으로는 우리집이었으므로 재산세를 내야 함. 안 내고 싶으면 6월 1일이 되기 전에 팔아야 한다. 재산세 부과 시기 기준 - 7월분 : 주택50% / 일반건축물 100% - 9월분 : 주택50% / 토지 100% (보통 말미 되면 납부자많고 재산세 팀으로 연락 많이 가서 일찍 납부 권장) * 재산세 주민세 취득세 지방세 이런거는 다 wetax로 가서 본인인증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다 뜬다. 거기서 납부해도 됨 상속자 명의 변경 한정승인 판결/등기 전에 자동으로 상속자가 아닌 다른 .. 2023.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