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티스토리30

티스토리 블로그 로봇 경로 (robots.txt) 검색허용을 담당하는 티스토리 블로그 로봇 텍스트 파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경로/robots.txt 예를들어 본 블로글 예로 든다면http://featured.tistory.com/robots.txt이런식으로 구성되는것. 위 주소를 직접 이동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현재 날짜기준, 이후 티스토리사 규정에 따라 바뀔수 있음) 2018. 1. 13.
티스토리 백업 방법 현재 티스토리는 자체 백업 메뉴를 없앤 상태로,스크립트를 통한 일괄 백업을 진행해야 한다. https://gist.github.com/taylor224/5eef306afaef7a7a136c66daecba6e41http://melotopia.net/b/?p=10811 2018. 1. 12.
운영중인 티스토리가 아예 유입이 없어졌다 어느날부턴가 특정 날짜 이후로 아예 방문자수가 0이 되었다.이유가 뭐지? 그런데 글은 계속 남아있고... 해당 티스토리 주소로 이동하니까 블로그 제한 접근을 당했다.의심되는것이 하나 있긴한데.메일로 가보니 아래처럼 다음클린센터에서 보낸 내용이 적혀있었다. 악성프로그램 유포,악성프로그램을 유포한적이 없다.다만.자바스크립트로 된 코인 채굴 스크립트를 삽입하긴 했었다특성상 사용자 컴퓨터에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를 유포하지는 않고, 그냥 약간의 씨피유 자원이 소모되는 정도이다.아마도 스크립트 동작으로 자원을 소모하므로 악성 프로그램으로 판단한것 같다. 만약 이의제기를 원하면 고객센터로 내용을 접수할수 있다고 했다.다음 계정이 있어야 하는가? 어쨌든.블로그가 막혔고, 이의제기를 하지 않거나 접수내용이 참작이 안되면 .. 2018. 1. 12.
티스토리 기본 반응형 스킨 텍스트 여백 조절 나만 그런지 모르겠으나... 적어보는 티스토리 관리 팁. 개인적으로 티스토리 기본 반응형 스킨 적용하면 텍스트 여백이 엄청 늘어난다. 이게 근데 처음엔 안그랬다가 그러기도 하고 뭔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혹시 나처럼 여백이 넘 크다 싶으면 아래 방법 참고해보세요. 아래는 해당 스킨의 블로그에서 작성한 글이다. 예시로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있다고 하면 보면 기본적으로 그냥 엔터만 친건데 여백이 꽤 크다. 이게 피씨에서 봐도 그런데 모바일로 가면...?방법은 CSS로 마진값을 조정해주면 적당한 여백을 유지할 수 있다. 우선 꾸미기 > HTML/CSS 편집으로 이동한 다음 만약 반응형스킨 #2의 이라면 다음의 코드값을 CSS에 넣어준다. 나의 경우 css에서 가장 아래에 삽입했다. 내가 추가 하는건 맨 아래 넣음.. 2017. 10. 31.
티스토리에 뮤직 플레이어 달기 (SCM Player) 티스토리 블로그에도 배경음악을 넣을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간단하게 넣을 수 있고, 음원은 유투브 링크로 음원만 재생이 가능하다. scm player라는 뮤직플레이어를 연동시키면 된다. 1. 우선 http://scmplayer.co/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2. 조금 아래로 내리면 셋업 화면이 뜬다. 여기서 우선 블로그에 달고자 하는 스킨의 종류를 선택한다. 다양한 컬러가 있으므로 스타일에 맞는것을 선택하고 가장 오른쪽에 라디오박스에 체크해준다. 3. 그리고 하단의 Next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이동한다. 4. 그러면 플레이 리스트 지정화면이 뜬다. 좌측에는 플레이어 리스트에 표시될 음악가 및 곡의 이름을 써준다. 그리고 우측에는 유투브 링크를 복사 붙여넣기 해준다. 미리 듣기도 가능(우측에 플레이.. 2017. 9. 13.
티스토리 단축키 정리 티스토리 페이지 단축키Q : 블로그 메인 / 관리자 화면 전환W : 글쓰기 화면 이동하기A / S : 이전글 / 다음글g : 방명록 글쓰기 모드 단축키ctrl + b / u / i / d : 굵게 / 밑줄 / 이탤릭체 / 취소선ctrl + , . / : 좌측 중앙 우측 정렬ctrl + z / y : 실행취소, 되돌리기(재실행)tab / shift + tab : 들여쓰기, 내여쓰기ctrl + k : 링크 / ctrl + alt + x : 효과제거ctrl + q ; 인용 ctrl + s : 임시 저장ctrl + m : 글쓰기 전체화면 모드 / 일반 글쓰기 UI 전환 ctrl + alt + o : 글 번호매기기 ctrl + alt + u : 글 머리 기호로 매기기 2017. 7. 3.